네이버, SK텔레콤, 업스테이지, NC소프트, LG AI연구원이
정부가 선정한 ‘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’ 정예팀 5곳에 포함됐습니다.
그럼, 어떤 전략으로 개발하고 있을까요?
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핵심만 쏙쏙 정리해드립니다! 👇
Q. ‘국가대표 AI 프로젝트’, 정확히 뭐예요?
✔️ 대한민국의 독자적인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는 정부 주도 사업이에요.
2025년부터 5개 팀이 선정됐고,
반기마다 성과 평가를 거쳐 최종 2팀만 살아남아 완성형 모델을 만들게 됩니다.
Q. 그중에서도 왜 ‘네이버’가 가장 주목받나요?
✔️ 모델 개발부터 서비스 상용화까지 모든 과정을 자체 기술로 할 수 있는
국내 유일한 풀스택 AI 기업이기 때문입니다.
네이버클라우드는
- 검색, 광고, 웹툰, 커머스 등 자체 데이터 확보
- 하이퍼클로바X 언어모델 개발 경험
- 클라우드 인프라까지 자체 보유
🔹 정부는 네이버를 두고
“기술력, 데이터, 인프라, 실전 적용까지 전부 가능한 기업”
이라고 강조했죠.
Q. ‘옴니 파운데이션 모델’이 뭔가요?
✔️ 네이버가 제안한 AI 모델로,
텍스트, 이미지, 오디오, 비디오 등 모든 데이터를 통합 이해하고 생성하는 AI예요.
📌 주요 포인트는 이렇습니다:
- 모든 모달리티 통합 (멀티모달 → 옴니모달)
-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구축: 누구나 AI 서비스 만들고 판매 가능
- 글로벌 수출형 모델로 발전 가능
→ 쉽게 말해, 네이버판 ChatGPT + Midjourney + AI 앱스토어!
Q. 어떤 기업들과 함께하나요?
✔️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에는
서울대, 고려대, KAIST, 포스텍, 한양대 등 국내 대표 연구기관과
영상 AI 스타트업 트웰브랩스가 함께합니다.
→ 영상 + 텍스트 + 음성까지 모두 아우르는 ‘진짜 범용 AI’를 목표로 해요.
Q. 다른 기업들은 어떤 전략을 갖고 있나요?
기업명 | 전략 키워드 | 요약 |
---|---|---|
업스테이지 | 국산 LLM ‘솔라WBL’ | ChatGPT급 국산 언어모델, 1천만 사용자 목표 |
SK텔레콤 | 포스트 트랜스포머 | 산업별 B2B AI 서비스 + AI칩 연계 전략 |
NC AI | 산업 특화 패키지 | 게임·제조·미디어 맞춤형 멀티모달 AI |
LG AI연구원 | K-엑사원, 산업 AI화 | LG 계열 전반에 AI 내재화 (AX 전략) |
Q. 이 소식이 주가에도 영향을 주나요?
✔️ 그렇습니다.
AI 전략이 기술력, 기업가치, 투자매력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
관련 상장사들에겐 중장기 호재로 분석됩니다.
기업명 | 직접 수혜 기대감 | 주가 전망 키워드 |
---|---|---|
네이버 | 매우 높음 | 플랫폼 시너지, AI SaaS |
SK텔레콤 | 중상 | AI 융합, B2B 확장 |
LG유플러스 | 중 | 산업 전환, 통신+AI |
플리토 | 중상 | 데이터 AI 수요 증가 |
뷰노 | 중 | 의료 특화 AI 기대 |
NC소프트 | 중 | 게임AI, 도메인 특화 |
Q. 앞으로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?
✔️
- 현재 5개 정예팀이 선정된 상태
- 6개월마다 성과 평가
- 최종 2개 팀만 살아남아 2026년부터 본격 서비스 개발
- 선정된 기업들은 ‘K-AI 기업’ 인증 + GPU·데이터·인재 등 정부 전폭 지원
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,
한국 AI 생태계의 주권을 확보하는 일입니다.
특히 네이버는 기술력, 실전 적용력, 글로벌 확장성 모두에서
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이번 사업의 핵심 주자로 부상했죠.
🔮 앞으로 누가 'K-AI'의 진짜 주인이 될까요?
- 검색창을 넘은 AI 플랫폼 기업 네이버?
- 국산 GPT 꿈꾸는 업스테이지?
- 산업 융합형 AI를 내세운 SK텔레콤?
- 콘텐츠+게임 AI를 동시에 준비하는 NC?
- 그룹 전체 산업을 AI로 묶는 LG?
당신의 선택은? 앞으로의 평가 결과도 함께 지켜봐야겠죠!